과목별 교과목

강좌설명

의료기기를 위한 의학개론 (Introduction to Medicine For Medical Device, 3-3-0)

의료기기분야에 필요한 의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질병의 종류와 원인 및 이의 질병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 의학의 발전 과정, 치료의학, 재활의학, 예방의학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며, 의학의 미래 발전에 대한 내용을 습득하도록 한다. 다학제적 교육을 제공하는 학과 특성상 다양한 학부전공의 이공계 출신 학생을 수용하므로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이 의학의 본질과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의학을 공통언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벌 의료기기 허가 및 규제 개론 (Introduction to Appoval and Regulation For Global Medical Device, 3-3-0)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각국은 의료기기 규제를 자국민 건강보호의 명분으로 무역장벽의 주요 수단으로 삼고 있다. 국산 의료기기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주요 국가별 의료기기 허가 및 규제에 대한 준비와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을 포함하는 주요 국가별 의료기기 품목, 등급분류, 인허가 절차 및 규제 동향, 품질관리기준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글로벌 의료기기 인허가 전략 수립 역량을 습득하고, 의료기기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 및 쟁점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의료기기와 인공지능 (Medical Device and AI, 3-3-0)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인공 지능 기술의 발전 과정과 최근의 딥러닝 알고리즘의 원리와 특징을 이해한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한 의료기기 개발 동향과 특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oftware as medical device, SaMD)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우수한 성능의 인공지능 기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 필수로 요구되는 양질의 빅데이터 확보 방안과 바른 주석(well annotated)을 포함하는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인공지능 모델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실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Python language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습득하고 대표적인 딥러닝 알고리즘인 CNN과 RNN을 이용한 의료영상처리 및 생체신호 처리 실습을 통해 현장 전문가로서의 인공지능 기술 적용 역량을 강화한다.

기술개발 프로젝트 (Technical Development project, 3-3-0)

의료기기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산학연병 협력 프로젝트 설계 및 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본 과목은 최소 12개의 주제별 기술개발 프로젝트 개설을 통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주제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경영 이해 (Understanding to Medical Device Administration of Enterprise, 3-3-0)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대표적인 의료기기 기업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의 경영전략, 연구기획, 인사조직, 재무, 마케팅, 생산운영 및 시장 환경 등 경영전반에 대한 이해와 기업 경영 역량을 습득한다.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동향 (Global Industrial Trends in Medical Device, 3-3-0)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 정의, 산업구조, 가치사슬 등 산업 생태계 변화와 의료기기 기업들의 경쟁, 기술과 시장 동향에 대한 이해와 사례 연구를 통해 환자, 예방 중심의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의료기기 산업을 전망하는 역량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