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GI disease research lab

김나영 교수

#Helicobacter pylori #성차연구 #tumor microenvironment

본 연구실에서는 대조군, 소화성 궤양, 위암, 대장암 환자 등 4,000명 연구 cohort를 구축하여 임상에서 요구하는 needs에 따라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1)Helicobacter pylori의 항생제 내성률의 추이 및 내성기전 규명과 효과적인 제균치료 체계 수립 : 2003년 개원 이후 clarithromycin, metronidazole, amoxicillin, tetracycline, quinolone 및 rifabutin 등 8가지 항생제 내성률을 알아보면서 2010-2015년의 ‘Fluoroquinolone 항생제 내성이 Helicobacter pylori 제균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한국연구재단/일반연구자지원사업을 통해 clarithromycin, metronidazole, amoxicillin, 및 quinolone 항생제 내성기전을 밝힌 바 있다.

2)Helicobacter pylori 제균에 의한 위암 발생 억제 기전 연구: Helicobacter felis 및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의한 위염 및 위암 발생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cagE knockout 및 vacA knockout 균주와 위암 세포주 연구를 통해 세균독성인자와 숙주세포의 cross-talk 및 질환 유발 기전에 대해 밝히고 있다. 특히 위점막조직을 이용해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 유무에 따라 methylation, microRNA,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및 stem cell, 종양미세환경 변화 연구와 Helicobacter pylori 제균했을 때 이러한 양상이 Helicobacter 음성과 같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가역성을 연구함으로써 Helicobacter 제균에 의한 위암 발생 억제 기전을 규명하고 있다.

3)위암과 대장암의 tumor microenvironment 연구 및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역할 규명: 위암과 대장암에서의 tumor microenvironment를 연구함으로써 두 장기 암 발생에서의 tumor microenvironment의 공통점과 차잇점을 밝히고 대장암 발생에서의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역할 및 immune checkpoint, nrf2 연관성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의 규명하여 대장암 발생 억제 및 치료에 도움이 될 해법을 찾고자 한다.

4)기능성 소화기질환 및 대장암, 장내미생물무리의 성차 연구: 남녀에 따른 기능성 소화기질환 증상과 치료 방법의 차이, 남녀, 연령에 따른 장내미생물무리의 차이를 밝혀 맞춤치료에 응용하고자 한다.

최근 연구업적

  • Helicobacterpylorieradicationinducedconstantdecreaseininterleukin-1Bexpressionovermorethan5yearsinpatientswithgastriccanceranddysplasia.GutLiver2020;14(6):735-745.(2020.11.책임저자, IF 2.968, PMID: 32703913)
  • Effectof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fter subtotal gastrectomy on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follow‑up for up to 15 years. Gastric Cancer 2020;23:1051–1063
  • Long-termfollowupofserumpepsinogensinpatientswithgastriccancerordysplasiaafter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J Gastroenterol Hepatol. 2020;35(9):1540-1548. (2020.09. 책임저자, IF 3.632, PMID:32090375)
  • RoleofserumpepsinogenIIandHelicobacter pylori status in the detection of diffuse-type early gastric cancer in young individuals in South Korea. Gut Liver. 2020;14(4):439-449. (2020.07. 책임저자, IF 2.968, PMID:31533397)
  • Family-basedexomesequencingcombinedwithlinkageanalysesidentifiesraresusceptibilityvariantsofMUC4forgastriccancer.PLoSOne.2020;15(7):e0236197.(2020.07.책임저자, IF 2.776, PMID: 32701958)
  • Functionaldyspepsia:Anarrativereviewwithafocusonsex-genderdifferences.JNeurogastroenterolMotil.2020;26:322-334.(2020.07.책임저자,IF3.179, PMID:32235032)
  • 17β-Estradiolsupplementationchangesgutmicrobiotadiversityinintactandcolorectalcancer-inducedICRmalemice.SciRep.2020;10(1):12283.(2020.07.책임저자,IF 4.011, PMID:32704056)
  • TheEfficacyandSafetyofGCWB104(FlosLoniceraExtract)inFunctionalDyspepsia:ASingle-Center,Randomized,Double-Blind,Placebo-ControlledStudy.GutLiver.2020;14(1):67-78.(2020.01.책임저자, IF 2.968, PMID:31945816)
  •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proteins according to functional dyspepsia subtype and sex.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20;26(2):248-58. (2020.04. 책임저자, IF 3.179, PMID:32235032)Annual eradication rate of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as second-line treatment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 15-year prospective study at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Helicobacter. 2020;25(3):e12685. (2020.03. 책임저자, IF 3.352, PMID:32141173)